현재 경기 북부에는 대규모 철도, 도로 인프라사업이 완성된 모습을 갖춰가고 있다.
대표적인 철도인프라는 GTX A, 도로인프라는 수도권 제2 외곽순환도로이다.
인프라가 완성되면 훌륭한 소재에 빨대를 꼽는 것은 인지상정
이번에 경기도는 경기북부 대개조 프로젝트를 선제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미 경기북부를 "평화누리 특별자치도" 라는 이름으로 나락을 보낼뻔했었다.
그 만큼 경기북부와 남부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는 것이고 뒤처지는 곳을 개발시키고 싶은 것은
정치인들이 치적 쌓기에 안성맞춤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등장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가 살펴봐야 할 것은 철도,도로분야가 될 것이다.
항상 등장하는 강변북로 양재~고양, 구리~광진구간 지하화는 솔직히 먼 미래의 이야기다.
사업성이 월등히 뛰어난 경부고속도로 지하화도 처음 등장한 것은 대선당시 정주영회장이 후보 공약으로
내세웠던 것이다.
이런 것에 현혹되면서 투자를 하게 되면 지옥을 맛보게 되니 주의하도록 하자.
다음 살펴봐야 할 것은 철도부분 파주발KTX, 의정부발SRT 이다.
이미 의정부발 SRT는 타당성 조사결과 부정적인 의견이 나와 무산된 사업이다.
GTX C노선 개통시 선로를 공유하면서 수서역에서 SRT노선과 연결하여 의정부에서도 고속열차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일단 GTX C노선 자체가 기존 선로를 공유하는 노선인데 SRT 운행까지 하게 된다면 용량부족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현재 GTX A노선 동탄~수서 구간만 봐도 선로용량 부족으로 배차간격이 10분대여서 불편할 수 밖에 없다.
이 부분을 큰 비용 발생시키지 않고 어떻게 해결할지가 가장 큰 관건이다.
그리고 상당히 먼 미래의 이야기 이므로 주의하자.
우리가 살펴봐야 할 노선은 파주발KTX이다.
경의중앙선을 이용하여 계획하고 있는 현 노선은 대곡역에서 GTX A노선과 연결되어 서울역까지 이동 후 KTX 선로와 연결된다는 계획이다.
KTX 선로 용량 부족 문제를 현재 예비타당성 면제노선인 평택~오송 복복선이 해결하면서
기대해봐도 될 사업이다.
그리고 능곡역에 차량기지까지 있기 떄문에 큰 비용없이 진행을 고민해봐도 될 것이다.
GTX A노선 개통으로 킨택스역 인근도 한 단계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올해 토지분양을 시작하는 일산테크노벨리는 주변 방송제작센터들과 연계하여 신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예정이다.
배드타운의 대명사인 일산신도시는 어느정도 업무지구를 형성할지 지켜봐야할 문제이다.
그리고 GTX A라인으로 수도권 3대 전시컨벤션 삼성코엑스 - 서울역 - 킨텍스가 한 번에 연결되었다.
당연히 시너지효과를 바라볼 수 있음을 명심하자.
조기대선 문제로 수 많은 인프라 공약들이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다.
아무것이나 보지 말고 냉철하게 판단하는 것은 각자의 몫임을 명심하자.
'철도인프라 개발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역 일대 글로벌 미래 플롯폼으로 재 탄생(서울역세권 개발) (4) | 2025.01.14 |
---|---|
경기남부광역철도 경기도와 성남,수원의 갈등 (4) | 2025.01.10 |
경기북부 동서철도의 재탄생 20여 년 만에 운행 재개하는 교외선 (6) | 2025.01.09 |
GTX A 운정~서울역 구간 12월 28일 개통 (0) | 2025.01.09 |
1기 신도시 이주지원 및 광역교통 개선 방안 발표 (7) | 2025.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