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서별 보도자료

2025년 경기도 업무계획

datesheets 2025. 3. 13. 15:51
반응형
SMALL

올해 업무계획은 매년 평균보다 늦게 업데이트 되는 경향이 있다.

오늘은 얼마전에 업데이트 된 25년 경기도 업무계획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경기도 인구는 계속 증가하여 24년 깆누 1416만명을 기록했다.

그리고 교통 인프라 사업에 2.7조원의 예산을 배정 받았으며 신규노선에는 20% 정도 추입될 전망이다.

24년 주요 성과중 가장 큰 부분은 역시 GTX A노선 부분 개통을 꼽을 수 있다.

동탄~수서구간은 기존 중앙버스전용차로로 인해 큰 메리트가 없었지만 운정~서울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고양, 파주시 주민들의 엄청난 지지를 얻고 있다.

26년 삼성역을 제외한 전구간이 개통되면 고양, 파주 주민들의 편의성은 더욱 업그레이드 될 예정이다.

그리고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단 계획이 승인되었고 판교제3 테크노벨리 사업이 진행된 것이다.

경기도는 반도체 클라스터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민간기업(삼성,SK)의 의지, 정부의 개발방향이 일치하게 되면 엄청난 진행속도를 보여준다는

사례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원삼 SK하이닉스의 경우 착공을 앞두고 있으며 남사면 삼성 반도체 클라스터는 토지보상을 시작한다.

그리고 제3 테크노벨리 자족용지에는 반도체 특화기업 2곳을 선정해서 육성할 계획이다.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곳이기 때문에 시너지 효과를 누릴 것으로 기대된다.

경기도는 북수원 테크노벨리를 조성하면서

과천 -인덕원 - 북수원 - 광교 - 판교로 이어지는 AI 지식산업벨트를 구축하려고 계획중이다.

그 중간을 차지할 북수원 테크노벨리는 공공기관 부지를 활용하여 조성할 예정이다.

기존 영동고속도로 확장, 국도1호선, 수원외곽순환도로와 현재 공사중인 인덕원동탄선 

시흥-수원 민자고속도로가 개통하게 되면 접근성이 대폭 향샹되어 조성하기 좋은 환경이 된다.

북수원 테크노벨리 사례로 살펴보면 역시 도로와 철도가 개통하면서 만나는 접점은 개발이 무조건 

진행된다는 것이다.

앞으로도 이 공식을 꼭 숙지하도록 하자!

K 컬쳐벨리 사업도 진행될 수 밖에 없다.

GTX A노선이 개통되고 수도권 제2외곽순환도로 김포~파주 구간이 순조롭게 공사중이다.

https://datesheets.tistory.com/26

 

K-컬처밸리사업 추진계획 기자회견문

k컬쳐밸리 사업은 일산의 배드타운 이미지를 없애줄 최고의 사업이었다. 아레나 공연장 , 테마파크, 호텔, 상업시설들이 들어와서 킨택스에 입주해있는 방송제작센터들과 연계하여 관광산업

datesheets.tistory.com

교통 인프라가 완성되고 있는 곳에 진행되는 사업은 진행 될 가능성이 높다.

CJ가 진행하던 K컬쳐밸리 사업은 사업자 재선정 후 다시 진행될 예정이다.

다음으로 경기도에서 항상 이슈가 되는 주한미군 공여지 개발사업이다.

언급된 곳은 가평이며 많은 분들이 기대하고 있는 의정부 캠프 스탠리는 반환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캠프 스텐리는 미군 헬리 중간급유지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이전은 힘든 것으로 예상된다.

https://datesheets.tistory.com/44

 

경기도 제6차 국도·국지도 건설계획 예비타당성 조사

경기도에서 제6차 국도.국지도 건설계획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국도, 국지도는 철도로 비교하자면 국비100% 사업인 일반철도와 비슷하다.국비로 지원하기 때문에 기획재정부 일괄 예

datesheets.tistory.com

경기도는 외곽순환도로 연결도로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곧 6차 국도.국지도 건설계획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가 나오는데 대부분 연결도로에 집중되거나

반도체 클라스터 진입도로가 예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고속철도 출발역사 관련 내용이다.

파주발KTX ,의정부발SRT 사전 타당성조사 용역을 진행하겠다는 내용이다.

사전 타당성은 말그대로 지자체 입맛대로 조사를 진행해서 중앙부처에 건의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내용이다.

이미 의정부발SRT는 과거 타당성 조사 통과 실패를 경험한 바 있다.

이번이라고 크게 다를 것 같지는 않다.

다만 파주KTX의 경우 경의선에 이미 능곡역에 KTX 출발역으로 활용되고 있기 떄문에 기대해볼 만 한 사업이다.

평택-오송 복복선 사업 착공 후 수색~광명 지하화 사업이 진행할 예정이기 때문에 파주KTX의 경우

수색차량기지 이전과 함께 제안된다면 고려해볼 수 있는 문제이다.

간단하게 25년 경기도 업무계획을 살펴봤다.

세부적인 사업은 부서별 업무계획이 나와봐야 알겠지만 큰 틀에서 어떤 사업이 진행되는지 알 수 있는 자료이다.

경기도에 관심있는 분이라면 꼭 읽어봐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반응형
LIST